[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 오리축사시설 개선이 가장 시급하며 이를 위한 전략적 투자와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 영암·무안·신안) 주최, 본지와 한국오리협회·오리자조금관리위원회 주관으로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AI 근본대책 오리 축사시설 개선을 위한 국회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이같이 주장하며, 시범사업 실시 등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과 이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의지를 주문했다.

김만섭 한국오리협회장은 “전체 오리농가 중 76.3%가 비닐하우스형 가설건축물 축사에서 오리를 키우고 있는 상황에서 각종 방역 시설은 일반 농가들에 비해 뒤처질 수밖에 없고 이후 축사시설현대화 보조사업이 폐지돼 오리 농가가 자발적으로 축사시설현대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 5년간 오리 농가 사육 제한 보상금 지출액만 해도 350억 원인데 이를 현대화시설 자금으로 지원했다면 보다 근본적인 AI 대책이 됐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영암이나 무안 등 오리 농가가 많은 한 지역을 선정해 축사시설 개선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영호 반석가금진료연구소장은 “축사시설현대화가 융자 80%에 자부담 20%로 진행되고 있는데 육계에 비해 오리는 투자비가 4배 가량 높아 농가들의 자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오리농가들이 축사시설을 현대화하기 쉽지 않다”며 “오리 축사 시설개선을 위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상황으로 시군에서 추진 동력을 확보해 반드시 오리 농가의 축사시설을 개선해야 AI를 막을 수 있는 전방위적 예방대책이 완성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좌장을 맡은 김재홍 동물보건의료정책연구원장도 “AI의 근본 대책을 위해 오리 축사시설 개선을 위한 전략적 투입이 필요한 시기라는데 크게 동감한다”며 정부에 혁신적인 발상을 주문했다.

세시간에 걸친 세미나 말미까지 자리를 지키며 경청한 서삼석 의원은 이같은 참석자들의 주장에 동감하며 “국회와 정부가 고병원성 AI의 연례적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오리 사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실질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