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홍문표 의원(가운데)이 지난 17일 여의도 천막 농성장을 방문해 낙농가 의견이 반영되는 낙농 대책을 재수립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홍문표 의원(가운데)이 지난 17일 여의도 천막 농성장을 방문해 낙농가 의견이 반영되는 낙농 대책을 재수립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홍문표 의원(국민의힘, 예산·홍성)이 원유가격연동제가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문표 의원은 사료가격 폭등과, 과도한 우유 유통마진은 해소하지 않고 낙농진흥회 공기관화 추진을 통해 낙농가의 희생만을 담보하는 불공정 농정은 즉시 시정돼야 한다면서 원유가격연동제를 유지하고 낙농가와 합의를 통해 낙농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농촌경제연구원 발표한 올해 원유생산전망치는 2020년 대비 7%나 감소한 195만 톤으로 우유 부족사태를 겪었던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수준이다생산환경 악화로 목장폐업이 67% 증가할 정도로 낙농가의 우유재생산 대책이 시급한데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불통농정을 통해 원유가격연동제를 폐지하고 정상쿼터를 삭감하는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만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홍 의원은 농식품부가 국정감사 지적사항을 무시하고 국회 보도고 없이 낙농대책을 추진한 것은 입법부를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홍 의원은 지난해 1020일 열린 국회 농해수위 농식품부 종합국감에서 위원회 지적에 따라 농식품부 장관은 낙농가와 충분한 협의 후 낙농대책 확정 전에 위원회에 보고하고 추진키로 한 바 있다그러나 농식품부는 국감 지적사항을 무시하고 국회 보고도 없이 낙농대책을 추진한 것은 입법부의 권위를 무시한 것으로써 향후 국회에서 도마 위에 올려 문제를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낙농전문가들은 현재 낙농가의 우유 재생산 대책 없이는 수입 유제품 시장 잠식을 촉진시켜 국민 필수식품인 우유생산기반이 붕괴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한 낙농은 장치산업이며 젖소라는 생명체에서 우유를 생산하기 때문에 한번 무너지면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산업구조라고 경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