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자조금, 소비활성화 간담회
[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우소비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입소고기와 비교 불가한 우위에 있는 한우만의 강점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한우자조금)는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한우자조금 지하 1층 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우 소비 활성화 방안을 위한 간담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강창수 롯데마트 대리는 “코로나19로 가정소비가 늘고 재난지원금으로 한우를 체험한 소비자가 늘어나는 등 한우소비에 있어서 펜데믹은 기회요인이었다고 본다”며 “가심비가 중요해진 소비문화에서는 한우가 수입육과 무리한 가격경쟁 보다는 수입육이 넘어설 수 없는 신선함 등 한우만의 독보적인 정체성을 브랜딩화해서 이를 소비자들에게 체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한우 최고등급과 가성비가 좋은 저등급의 한우를 적재적소에 홍보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이병욱 현대그린푸드 과장은 “펜데믹으로 한우소비의 기준이 등급에서 부위로 바뀌면서 등심, 안심 등의 전통부위가 아닌 안창살, 부채살 등의 특수부위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며 “한우소비 활성화에 있어서 사료나 지역 등 사양 관련이 아닌 상품에 대한 스토리를 가지고 소비자들에게 접근하는 등 보다 고차원적인 소비홍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희경 기자
nirvana@afl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