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올해 실시된 무기질비료 가격안정 지원사업이 내년에도 이어져야 농가는 물론 소비자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 농협은 올해 무기질비료 가격 인상분의 80%를 지원했다. 지난해 20kg 한 포대에 1만 원 전후면 구매할 수 있던 요소 비료값이 올해는 3만 원에 육박하는 등 무기질비료 가격이 2배 이상 뛰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껑충 뛴 무기질비료 가격에 대한 농가의 하소연이 지속되고 가격 부담에 무기질비료 구매를 포기하거나 줄이는 일이 자주 벌어졌다.

실제 한국비료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무기질비료 농업용 출하량은 76만9000톤으로 지난해 동기 79만2000톤과 비교해 2.9%가 감소했다. 무기질비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농가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상분 지원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부담이 컸던 만큼 양주시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에서는 무기질비료 인상분을 100% 보전해 주는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당분간 무기질비료 가격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현장에서는 내년도 무기질비료 구매비용 부담에 대한 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장기화, 중국의 요소수출 제한,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감축에 따른 유럽의 암모니아 생산 감소 등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면서 내년도 무기질비료 국제원자재가격은 높게 유지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은 최근 농가의 비료 생산 지원금을 2배 가량 늘렸으며, 일본 역시 정부차원의 비료가격 지원을 공식화하는 등 국제원자재가격 수급 불안에 대비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내 무기질 비료업계에서도 올해 정부가 시행한 무기질비료 가격안정 지원사업과 원료구입자금 무이자 지원에 대해 높게 평가하며 국민의 먹거리 안보와 식량주권 유지를 위해 무기질비료가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년에도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