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에서 제5차 국민정책디자인단 현장간담회 개최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17일 탄소 저감기술을 활용하는 충남 홍성의 축산농장을 방문해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도의 성공적 도입·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국민정책디자인단 간담회를 개최했다.
농식품부는 국민이 체감하는 확실한 혁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올 5월부터 ‘저탄소 축산물 활성화 방안 수립’을 과제로 정책 수요자인 국민과 공무원, 서비스디자이너 등으로 구성된 국민정책디자인단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축산농가와 유통업계,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해 각 분야의 탄소 감축 노력과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생산·유통·소비로 이어지는 축산물 공급체계 전 과정의 탄소 감축 수단인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향후 축산분야 탄소중립 정책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ᄂᆞᆯ 방문한 충남 홍성 축산농장의 경우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을 통해 양돈 분뇨처리과정에서 메탄을 포집,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 농장의 에너지화 시설은 인근 16개 양돈농가 가축분뇨를 위탁 처리해 일평균 4000k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약 600호의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이밖에도 농장 단열을 개선하고 온·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량이 조절하도록 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사양관리 데이터를 축적·활용하는 정밀제어 기술을 도입, 가축 폐사율을 약 10%가량 줄이기도 했다.
또한 향후 가축분뇨 내 질소 저감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저단백사료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수연 한국소비자연맹 팀장은 “실제 축산현장에서의 탄소 감축 노력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됐다”며 “미국 등 해외에서도 민간에서 저탄소 인증을 도입하는 등 축산분야 탄소감축 노력을 시작하는 만큼 우리도 저탄소 축산업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김 팀장은 “다만 축산물 생산에서의 노력이 소비 현장까지 잘 전달되기 위해선 축산물 유통과정 개선, 소비자 홍보 등이 보완돼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농산물의 경우 벼, 사과, 배 등 61개 품목에 대해 저탄소 인증을 2012년부터 이미 운영하고 있으나 축산물은 현재 저탄소 인증이 도입돼 있지 않아 축산분야의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소비 현장에는 이러한 노력이 잘 전달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농식품부는 국민정책디자인단 운영 외에도 인증제 도입을 위한 기준과 소비자단체 협력사업을 통한 저탄소축산물 홍보·교육 방안 등을 올해까지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향후 저탄소 축산물 인증이 도입되면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시장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부터 축산농가 대상으로 저탄소 축산물 인증 시범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정경석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앞으로 궁극적으로는 저탄소 소비시장 확대 등을 통해 축산분야 전반을 환경친화적 축산업으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