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회, 동물에서의 방역 관리 방안 제안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회(이하 특별위원회)와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이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용역 과제로 추진한 연구에서 개, 고양이 등 국내 반려동물에서 코로나19 항체 검출에 따라 동물에서의 방역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위원회에 따르면 조호성 전북대 수의대 교수를 연구책임자로 한 이번 연구에서 2021년 4월부터 2022년 1월까지 국내 가정과 동물보호소의 개 672마리와 고양이 346마리 등 총 1018마리를 대상으로 ‘SARS-CoV-2’ 항원과 항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의 2.38%(16마리), 고양이 5.2%(18마리) 등 34마리에서 항체가 검출됐고 이 중 31마리는 중화항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2마리의 고양이에서 PCR 양성을 확인했다
현재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서는 개와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으로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나 감염된 동물로부터 사람으로의 감염 위험은 매우 낮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국가에서 동물에서의 코로나19 감염 보고를 발표하는 상황이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조사가 필요하며 코로나19 확진자나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은 반려동물을 포함한 동물과의 접촉을 최대한 제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별위원회는 반려동물을 포함한 동물에서의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방역당국, 지자체 등과 공동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특별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중인 코로나19 확진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선별적인 검사 방식에서 검사를 원하는 모든 반려동물 보호자를 대상으로 지역별 거점 동물병원을 지정해 간이 검사 또는 지자체 동물위생시험소와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제안한다”며 “거점 동물병원을 통한 검사 시스템 구축은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한 다양한 동물과 인수공통전염병에 적용할 수 있어 공중보건을 위한 중요한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