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정책연구소, 경영실태 조사
[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2020년 대비 8792만 원 늘어나
4억 원 이상 고액 부채비율 44.2%
지난해 낙농가 평균 부채액이 전년보다 20.7%가량 늘어나면서 5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1 낙농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 호당 평균부채액은 5억1232만 원으로 2020년 대비 8792만 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호당 부채액을 규모별로 보면 1000만 원 미만(1.5%), 1000~5000만 원(7.1%), 5000만 원~1억 원(10.4%), 1~2억 원(13.8%), 2~4억 원(23%), 4억 원 이상(44.2%) 순이었다.
특히 4억 원 이상의 고액 부채비율은 44.2%으로 2020년보다 늘어나 농가들의 경영 압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채발생 원인으로는 쿼터매입(35.9%), 시설투자(25%)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시설투자로 인한 부채 발생의 원인으로는 축사개보수(20.6%), 착유(17%), 분뇨처리(16.9%), 세척수 처리(1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채 증가 원인 중 사료구입과 생활비는 2020년 대비 증가해 지난해 초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사료가격이 농가들에게 큰 부담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석진 낙농정책연구소장은 “최근 퇴비부숙도검사의 의무화, 악취·대기 규제 등 축산에 대한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면서 추가 투자에 따른 낙농가의 경영압박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후계자가 없는 고령농가와 그린벨트 지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입지제한구역의 낙농가 중 상당수가 폐업을 강요받고 있는 등 국내 낙농산업이 직면한 현실에 대해 정확하게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낙농경영 실태조사는 낙농정책연구소가 지난해 10월 12일부터 12월 17일까지 700호의 표본농가를 선정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설문에 성실히 답한 617호 농가의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