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7일차로 접어든 가운데 축산업계에서는 파업 장기화로 인해 가축 사료 공급이 전면 중단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이하 축단협)30일 성명서를 통해 파업이 장기화될수록 축산농가들의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면서 조속한 사태해결을 촉구했다.

지난 6월과 7월에 진행한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전국 항만의 사료원료차량 운행차질로 축산농가들은 가축 출하와 사료 공급이 지연되는 피해를 입었다. 또한 이번 파업으로 전국 12곳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소보다 80% 가까이 줄어드는 등 물류 차질이 이어지고 있어 축산농가들의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와 관련해 축단협은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라는 화물연대의 구호와 같이 화물운송 중단이라는 투쟁수단은 국가 전 산업에 걸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력한 만큼 신중하게 행사돼야 한다면서 축산농가들이 화물노동자들의 정당한 쟁의행위를 폄하할 권리는 없지만 파업 미참여 비조합원들에 대한 폭력행사까지 일삼으며 사료운송차량의 정상 운행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축단협은 이번 파업은 지난 6월 노정 간 합의한 안전운임제 유지에 대한 양측 해석이 엇갈리면서 불거진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화물연대와 정부 모두 불완전한 합의에 대한 후속 논의 등 파업이 재발되지 않도록 노력이 부족했던 것은 아닌지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이면서 이번 파업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