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박현렬 기자]
한우가격 폭락으로 부채에 시달리던 경북 예천의 한 농업인이 지난 13일 극단적 선택을 한 가운데 벼랑 끝에 몰린 한우산업을 위한 안정대책을 마련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우업계에 따르면 예천 우시장이 열린 지난 13일 한우 번식우 150마리 정도를 키우던 한 농가가 최근 소 값 폭락으로 인한 경영난에 힘들어 하며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특히 이 농가는 정부가 추진한 무허가축사 적법화에 맞춰 새로 축사를 신축하며 큰 금액의 부채를 지게 됐고 최근 금리와 사료가격 폭등, 소가격 폭락 등의 악재가 겹치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낳고 있다.
이에 전국한우협회는 지난 16일 ‘정부는 벼랑 끝에 몰린 한우산업 안정대책 즉각 시행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이같은 사태는 근본적으로 정부의 잘못된 정책과 안일하고 미비한 수급 대처 능력의 책임이 큰 만큼 정부가 한우수급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
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마릿수가 적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소규모 번식농가의 경우 더욱 큰 타격을 입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라면 2025년 한우농가수는 반토막이 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와 전국한우협회는 지난 16일 원주축협 소회의실에서 ‘2023년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를 개최해 자가도축 일시 허가, 암소번식우 할인 판매 등을 포함한 7개 건의안을 협의하고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했다.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와 한우협회는 △자가도축 일시적 허가 △중등급 암소번식우 할인 판매(2~3등급) △한우 도소매 가격 연동제 제도화 △미경산우 비육 촉진 △시장격리를 통한 소 가격 안정화 추진 △사료 가격 인하를 위한 정부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외에도 장기적으로 군납 물량 확대, 한우산업 기본법 제정, 음성공판장 수출경매 시행, 중소 축산농가(사육마릿수 50마리 이하) 육성 등에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한우협회는 한우수급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암소자율감축 사업을 추진하고 가격하락에 따른 추격도축자제·분산출하, 국내산 조사료 재배확대를 통한 생산비 절감에 앞장 설 계획이다.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는 사료 가격 안정화를 위한 기금 조성, 소고기 자급률 목표치 설정, 학교급식 확대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최창열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 회장(거창축협 조합장)은 “한우 사육마릿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한우고기 가격이 소비절벽으로 급락해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 소비촉진 운동과 더불어 시장격리, 미경산우 비육 촉진, 사료 가격 인하 등을 진행해야 어려운 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삼주 한우협회장은 “소비자 가격 연동제를 비롯한 신선 농축산물 할인쿠폰 예산 내 한우 쿠폰 지원 확대 등 소비 촉진 대책과 군납 물량 확대를 통한 소 가격 안정 지원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미경산우 사업 활성화를 위한 미경산우 표지제·브랜드 추진, 암소 비육 등록 표시제 도입, 한우산업기본법 제정 등도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