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농가 지원 대책 시급, 소비촉진 운동도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한우산업 안정화를 위한 대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사육마릿수 50마리 미만의 중소농가는 사육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한우 산업의 위기라는 생각으로 정부, 농협, 생산자들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합니다.”
 

1995년 축협중앙회에 입사해 유가공, 목우촌, 안성 목장, 원유 집유, 한우개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내부에서 최고의 한우 전문가로 꼽히는 차의수 한우기획팀장.
 

2021년부터 한우기획팀장을 맡고 있는 그는 “2018년부터 사육마릿수 과잉으로 수급조절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와 2019년부터 암소감축사업을 진행했는데 효과는 미미했다”며 “코로나19로 한우 소비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는데 재난지원금이 풀려 한우가격이 상승하고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사육마릿수가 오히려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21년 암소감축사업 목표는 2만 마리였으나 농가 약정은 1만8000마리에 불과했다. 이후 심상치 않은 위기를 느낀 농가들이 지난해 감축사업에 대거 참여했다. 
 

차 팀장은 “고금리와 물가 인상 등으로 국민들의 가계부담이 증가한 상황에서 한우 사육마릿수는 역대 최고라 2011~2013년 한우파동 보다 장기적이고 더 어렵게 상황을 극복해야 한다”며 “당장 이달부터 소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위기이기 때문에 대규모 소비 촉진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16만5000호에 달했던 한우농가가 반토막이 났는데 이 중 사육마릿수 50마리 미만의 농가가 70~80%”라며 “중소규모 농가를 위한 지원대책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대기업이 축산업에 진출해 향후 몇 년 안에 농가라는 용어가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소규모 농가가 사육을 포기할 경우 지역축협의 조합원이 사라져 결국 일부 조합은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차 팀장은 “사육마릿수 50마리 미만의 농가를 육성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고 한우농가들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의기투합해야 한다”며 “정부는 한우 가격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소비 바우처를 늘리고 종사자들과 힘을 합쳐 대규모 소비촉진 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