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산데이터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소비자의 상당수가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도 높은 것으로 조사돼 동물복지가 축산물 구입의 핵심 기준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한국축산데이터가 최근 자사 프리미엄 원헬스 축산물 마켓 ‘굴리점퍼’ 이용자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동물복지 축산물 선호 여부를 묻는 질의에 응답자 중 67.6%가 선호한다고 답했다. 선호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9%에 불과했다.

굴리점퍼는 한국축산데이터의 가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팜스플랜’으로 건강하게 기른 돼지고기 ‘팜스플랜미트’와 ‘아트리스아트’, 국내 유일 전통 산란계 토종닭으로 인증받은 농장에서 자연 방목으로 생산한 ‘잘란’ 등 프리미엄 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34.2%가 ‘안전한 먹거리로 믿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동물복지를 위해서(30.1%)’, ‘건강을 위해서(13.7%)’가 그 뒤를 이었다. 

이 같은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그대로 동물복지 인증 선호로 이어졌다. ‘축산물을 구매할 때 동물복지 인증 여부는 중요한 기준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5%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9%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에 한국축산데이터는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소비자의 축산물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축산물 구매 시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81.2%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를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생각이 있는 소비자도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0%가 ‘일반 축산물 대신 동물복지 축산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쓰겠다’고 답했다. ‘고려해보겠다’고 답한 응답자도 30.6%에 달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추가로 부담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해서는 ‘10% 이하’라고 답한 응답자가 47.1%로 가장 많았다. 27.3%는 ‘5% 이하’라고 답했으며 19.4%는 ‘20% 이하’까지 추가로 가격을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3.3%는 ‘비용은 상관없다’고 답했다.

실제 소비자 대다수는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1.3%가 그렇다고 답했다. 2.8%의 응답자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송신애 한국축산데이터 미래전략연구소장은 “동물복지와 식품 안전성 등의 가치를 고려해 동물복지 축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축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실제 가축 사육 현장에서 동물복지가 제대로 실현되는지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