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아프리카 8개국 장관 초청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 개최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8개국이 아프리카 쌀 증산을 위해 굳건한 농업협력을 약속하는 자리가 마련돼 주목을 받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소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 등 아프리카 8개국의 장관을 초청해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했다.

한국과 아프리카 8개국은 이번 회의를 통해 아프리카의 쌀 증산을 위해 한국의 종자와 농업기술을 전파하는 ‘K-라이스벨트’ 사업의 공식 출범을 선언하고 장기적인 국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K-라이스벨트’는 아프리카에 한국이 개발한 벼 품종을 보급하고 농업기술 전수, 기반 시설 구축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쌀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대규모의 한국형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으로 단순 자금이나 물적 지원에서 벗어나 아프리카 국가의 식량을 자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이날 회의에는 K-농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큰 관심을 반영하듯 아프리카 8개국의 장관급 대표를 비롯해 신디 매케인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 케빈 치카 우라마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부총재, 바부카 마네 아프리카라이스(Africarice) 사무총장 등 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축하하고 쌀을 통해 양국이 풍요와 번영을 추구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의 개회사 모습.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의 개회사 모습.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K-라이스벨트 사업은 풀어서 설명하자면 아프리카에 특화된 한국형 쌀 증산 프로젝트로, 직접 아프리카를 방문한 결과 젊고 역동적인 인구와 광활한 대륙의 잠재력을 확인했으며, 아프리카의 식량안보에 대한민국이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희망과 확신을 가졌다”고 전하고 “짧은 기간 안에 쌀 자급을 달성한 대한민국의 소중한 경험과 노하우를 한국형 쌀 증산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착실히 공유해 나가고자 한다”며 아프리카 식량난의 실질적 해결 의지를 표명했다.

특히 정 장관은 “K-라이스벨트 사업은 한국만의 노력으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는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프로젝트”라며 “오늘 8개국의 장관들과 함께 K-라이스벨트 사업의 성공적 추진으로 풍요와 번영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첫 발걸음을 내딛는 만큼 애정 어린 관심과 협력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의 축사 모습.
한덕수 국무총리의 축사 모습.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도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세계 식량안보에 적극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그 중심에 ‘K-라이스벨트 사업’이 있다”며 “대한민국은 이제 식량을 웢조받던 나라에서 식량을 원조해 주는 나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을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와 함께 나누고자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한 총리는 “대한민국은 앞으로 쌀로 잇는 우정을 넘어 아프리카 국가들과 부지런히 소통하며,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며 “특히 내년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한·아프리카 특별정상회의’는 한국과 아프리카 관계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개회식 후에는 국가별 MOU 서명식과 함께 정부 관계자, 국제기구, 학계 전문가 등의 참석하에 ‘세계 식량안보와 한국 농업 ODA 추진방향’, ‘K-라이스벨트 성공을 위한 협력방안 발굴’을 주제로 세미나가 마련돼 실질적인 사업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가나 업무협약
한-가나 업무협약
한-기니 업무협약
한-기니 업무협약
한-기니비사우 업무협약
한-기니비사우 업무협약
한-카메룬 업무협약
한-카메룬 업무협약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