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마늘생산자협회
[농수축산신문=이두현 기자]
전국마늘생산자협회는 정부가 저품위 마늘 시장격리 조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마늘 도매가격은 생산비도 건지지 못할 정도로 낮다며 정부의 후속 대책을 촉구했다.
마늘생산자협회는 지난 24일 성명서를 통해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에 따른 정부의 마늘 수급 대책과 농산물 유통 구조 개선을 요구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5일 ‘2023년산 마늘수급대책’을 발표하고 저품위 마늘 시장격리를 진행했지만 여전히 마늘 시세가 과도하게 낮은 만큼 지금이라도 정부가 1kg당 4500원에 마늘 수매·비축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올해 생산량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비도 건지지 못할 정도의 경매가가 형성되는 것을 지적하며 유통구조 전반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일 전국 농협공판장의 마늘 평균 가격은 1kg당 2665원으로 제주와 전남지역 농협 수매가격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통계청의 지난해 ‘농축산물생산비조사’ 자료를 인용해 마늘 1kg당 생산비는 3060원에 달하는 만큼 현재 농가들은 생산비도 건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성토했다.
실제 농식품부의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에 따르면 난지형 피마늘 상품의 이달 도매가격을 기준으로 1kg당 2758원 이하면 하락 경계, 1930원 이하면 하락 심각 단계에 해당한다.
김경수 마늘생산자협회 사무총장은 “해마다 농산물 생산량이 일정하게 유지돼야 시세도 물량에 따른 급등락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처럼 마늘 가격이 과도하게 낮을 때는 정부가 신속하게 대응해 일정 수준의 소득을 보장해줘야 마늘 농가가 내년에도 농사를 지속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마늘 상품 수매·비축을 시작해야 상인들도 가격을 올려 시세가 정상화될 뿐 아니라 추후 마늘 소비자가격이 상승할 때 비축물량을 방출해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