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산경영학회, 2023년 하계심포지엄 개최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2050 탄소 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구체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축산으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이에 대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자리가 마련됐다.
(사)한국축산경영학회는 지난 24일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친화적 축산으로의 전환과제’를 주제로 2023년 하계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신용광 한국축산경영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엘리뇨로 인한 집중호우와 같은 기상재해는 지구온난화 문제 때문으로 축산업도 지구온난화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며 “이에 하계심포지엄을 그동안 소홀하게 취급했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은 2개의 주제발표와 지선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의 한우 암소비육지원사업 효과 실증분석을 비롯한 15개의 자유주제 논문 발표, 7개의 포스터 발표 등으로 이뤄졌다.
# 분뇨 처리방법 다각화 통해 탄소중립 이바지
정부는 가축분뇨 에너지화·가축분뇨 적정처리·정화처리 비중 확대 등 분뇨 처리방법을 다각화하고 바이오차 등 탄소 고정물질 전환을 추진할 방침이다.
서준한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하계심포지엄 주제와 동일한 주제발표에서 “2030년까지 가축분뇨 830만 톤을 바이오가스, 고체연료 등 생산에 활용하고자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업참여 범위 확대 등 시설을 확대하고 공공형 에너지화 시설 확충, 환경부 친환경에너지타운 사업과 연계한 사업을 추진한다”며 “100% 재생에너지(RE-100)와 환경·사회·지배구조(ESG)경영 등을 통해 민간기업의 가축분뇨 에너지화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 과장은 “기계 교반, 송풍시설 확대로 가축분뇨 적정처리 시 49%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대규모 농가에는 자가처리와 송풍시설 설치 활용을 유도하고 처리능력이 낮은 중소규모 농가는 위탁처리 중심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기존 위탁처리시설의 처리용량 확대를 위한 증·개축 지원 확대와 매년 30여 개 시·군과 축산농가에 가축분뇨처리시설, 축산악취저감시설 등 축산악취개선사업을 통한 농가 교반, 송풍시설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정화처리가 퇴·액비화 대비 30%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처리 비중을 2020년 10%에서 2030년 25%로 확대한다.
그는 “바이오차 등 탄소 고정물질 전환을 위해 축종별, 규모별 시범사업을 3개소에서 진행하고 있다”며 “바이오차는 축사깔짚, 토양개량제, 상토원료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탄소중립 대응 저탄소 기술개발 필요
축산업이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저탄소 축산업 실현을 위한 비전 설정과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 혁신적 저탄소 기술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창길 서울대 특임교수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축산분야 연구동향 및 과제’ 발표를 통해 “향후 사료 균형·효율개선,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사료첨가제 개발, 축산부문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연구, 저탄소 축산기술의 국제적 공동연구 등을 추진해야 한다”며 “축산분야의 혁신적인 저탄소 기술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의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고 게임체인저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일본에서 아미노산 밸런스에 기반한 저단백질 사료 급여를 통해 분뇨 중 질소배출량이 줄어 일산화질소 배출량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우리나라도 가축사료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며 “축우의 메탄 발생을 줄이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한 사료 첨가제 개발 등도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축산농가와 축산업계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실천 경영 참여 방안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아이디어 기반의 혁신 기술 개발 필요성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