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 이하 한우자조금)가 지난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한우산업의 노력을 소개했다.

한우산업에서는 한우분뇨 자원화와 연료화를 위한 연구를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한우자조금이 발주하고 박규현 강원대 교수팀이 발표한 ‘전과정 측면에서 한우의 환경적·산업적 특징 연구’에 따르면 우분을 퇴비로 활용하는 경우 질소질 화학비료를 대체하는 효과로 화학비료 사용 대비 17.7%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노력과 함께 한우자조금에서는 버려지는 농업 부산물을 사료로 섭취해 지구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는 한우의 역할 등 한우의 환경적 가치를 재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한우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에 있다.

인식 개선 활동의 일환으로 최근 한우자조금은 한우가 자연 선순환 구조로 친환경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우자조금이 발주하고 전북대 산학협력단이 발표한 ‘저탄소 한우고기 생산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및 산업적 전략분석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의 사육과정에서 소가 배출하는 메탄이 자연적인 순환경로를 갖춰 환경 오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한우산업에서는 가축분뇨를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가스로 자원화함으로써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법과 메탄저감제와 환경개선 사료 급여 등을 통해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고 한우자조금 측은 밝혔다.

이동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앞으로도 한우자조금은 한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재규명을 통해 한우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