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고온다습한 여름철, 계란의 유통 단계별 보관 적정 온도가 달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계란산업 관계자들은 식용란수집판매업의 경우 영업장 내부를 15도로 관리해야 하지만 물세척이 끝난 계란의 경우 저장·유통을 10도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계란의 품질 유지를 위해 온도 통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축산물위생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식용란수집판매업의 경우 영업장의 내부는 ‘냉장된 식용란을 처리하는 작업실인 경우에는 실내온도를 섭씨 15도 이내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에 의하면 ‘물로 세척한 달걀의 보존 및 유통온도는 냉장(0~10도)’으로 지정돼 있다.

이에 산란계업계 관계자는 “계란의 경우 냉장 보관과 실온 보관이 모두 가능한 냉소 보관(0~15도)으로 규정하고 있다”며 “실온유통 시 계란이 변질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계란유통업계 관계자는 “저온에서 보관한 계란의 경우 하절기에 실온에서 보관하거나 판매하게 될 경우 계란 표면에 결로가 생겨 신선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선별포장 작업장과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에 이르기까지 지켜야 하는 온도가 다 달라 이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