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산란업계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산란계 농장의 케이지 단수 완화’를 제시한 것과 관련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폭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농식품부가 지난달 2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축산업계 현장의 애로 해소 방안 11개 중 하나로 산란계 케이지 단수를 9단에서 12단으로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으로 안정적인 축산물 공급과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게 농식품부의 입장이다.

현재 축산법 시행령은 산란계 농가에게 케이지 단수를 9단 이하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시행령 개정을 통해 오는 11월부터 12단 이하의 단수로 산란계 케이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기준을 완화할 계획이다.

산란계업계에선 이러한 규제 완화로 인해 갑작스러운 사육마릿수 증가로 계란의 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수급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산란계업계 관계자는 “산란계 케이지 단수 규제 완화는 사육면적 확대로 인한 사육마릿수 감소에 대비한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며 “산란계 농장에서 산란계 마리당 사육면적 확대를 이행하기 위해선 사육마릿수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지만 사육면적 확대로 줄어드는 사육마릿수보다 케이지 단수 규제 완화로 증가할 사육마릿수가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돼 계란의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산란계 케이지 단수 완화가 이뤄질 경우 계란의 공급 과잉으로 인한 계란 가격 폭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산란계 농가는 “농식품부에선 산란계 케이지 단수 완화를 통해 안정적인 계란 공급을 목표로 하고 하지만 계란의 수급관리는 즉각적으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사육마릿수가 증가하게 되면 매일 생산되는 계란은 공급 과잉이 불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