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동어시장의 현대화사업을 앞두고 시장의 주요 고객인 대형선망업계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은 박근혜 정부 당시 확정됐으나 시장의 지배구조문제 등을 두고 부산시와 부산공동어시장 주주 조합 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장기간 지연됐다. 이 가운데 최근 부산시는 부산공동어시장의 비수기인 대형선망어업 휴어기에 현대화사업에 본격 착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금어기 한 달이 모두 지나고 자율휴어기에 들어가는 21일 현재까지도 여전히 세부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언제 기존 시설 철거작업에 들어갈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부산공동어시장은 현대화사업은 어획물의 위판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시장 시설을 3분의 1씩 나눠 순차적으로 기존 시설물 철거와 공사를 진행한다. 즉 현대화가 이뤄지는 기간 동안 시장의 고객과 종사자들이 불편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부산공동어시장 조합공동사업법인 측이 시장현대화 사업과 관련한 설명회조차 개최하지 않고 있어 시장의 주요 고객인 대형선망업계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대형선망업계에서는 당초 휴어기에 공사를 착공한다는 계획이 지켜지지 않아 성어기에 시설의 일부를 사용하지 못할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당초 계획은 대형선망어업의 휴어기에 공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었으나 지난 21일까지도 기획재정부의 승인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현대화사업이 지연될 경우 성어기인 11월에 본격적인 공사가 착수돼 경매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성어기에 어획량이 많을 경우 운반선의 대기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어획물의 선도저하로 위판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부산공동어시장 측이 현대화로 공간이 좁아지는 것에 대한 대책을 전혀 제시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조공법인은 현대화에 착수할 경우 현재 1단으로 배열해 진행하고 있는 경매를 2단 또는 3단으로 쌓아 경매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경우 양륙과 배열을 맡은 항운노조에서 추가적인 노임을 요구할 공산이 크며 이는 모두 대형선망업계의 추가적인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형선망업계의 한 관계자는 “언론 보도에서는 휴어기때 공사에 들어간다고 했는데 지금 휴어기가 절반 이상 지났는데 시작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아 성어기인 11~12월 경에 착공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며 “시설의 상당부분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 선망업계가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 데 어시장에서는 현대화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