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는 지난달 28일 한우 암소 200여 마리를 대관령 초지에 방목했다.
한우연구소는 국내 한우 산업 발전의 중심축인 한우 육종, 번식, 사양 등 관련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한우연구소는 크게 한우를 계통축, 기초축, 시험축 등 3개로 축군을 구분하고 있으며 약 1000마리를 사육 중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만 사육하는 단일 축종인 한우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자체 선발한 씨수소와 암소 300마리를 교배해 계통축을 조성하고 있다.
계통축은 특정 보증씨수소 정액 쏠림 현상으로 근교도가 높아질 것을 대비해 국가단위한우개량사업으로 선발한 보증씨수소 정액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선발한 씨수소와 한우 암소를 교배해 조성한 축군이다.
이날 방목한 암소 200여 마리는 임신하지 않았거나 젖을 뗀 암소다.
방목 암소들은 보통 5월 말이나 6월 초에 방목돼 약 5개월간 초지에서 지내다가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10월 말경 축사로 돌아간다.
한우연구소 내 방목초지는 총 14개 구역 약 180ha에 달하며 방목 암소들은 한 구역에 7~10일씩 머무르면서 하루 약 60~70kg의 풀을 뜯는다.
한우연구소는 방목 암소들이 적절한 운동과 일광욕 효과로 번식 장애가 줄어 축사 사육 시보다 번식률이 15% 이상 높으며, 한우 생산비의 50.9%를 차지하는 사료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훈 한우연구소장은 “한우산업이 성장을 거듭해 한우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세계 시장에 우뚝 서는 날이 올 수 있도록 관련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