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한우가격 폭락으로 신음하고 있는 한우농가들이 사료구매자금 상환기한 만기 연장을 비롯해 유통구조 개선 등 현실적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가 지난 24일 실시한 한우농가 현장방문에서 한우 농가들은 한우산업의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하며 정책적 대안마련을 주문했다.
경기도 김포에서 일관사육으로 130마리의 한우를 키우고 있는 우진농장에서 실시된 이번 정책 현장 방문에는 이원택 의원(민주당, 군산·김제·부안을), 서삼석 의원(민주당, 영암·무안·신안), 문금주 의원(민주당, 고흥·보성·장흥·강진), 문대일 의원(민주당, 제주시갑) 등 농해수위 소속 의원과 이연섭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장, 이연묵 한우협회 경기도지회장, 김정일 한우자조금 부위원장 등 한우농가들이 다수 참석했다.
이연묵 한우협회 경기도지회장은 “송아지를 임신한 암소 한 마리를 팔아도 수소 한 마리 가격이 안 나오는 상황임에도 50마리 미만의 소규모 번식우 농가에 정책이 집중돼 생산기반에 대한 지지가 필요하다”며 “암소수매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지금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다”고 강력히 말했다.
김정일 한우자조금 부위원장은 “가장 문제는 유통업체만 배불리는 한우의 유통구조로 한우가격은 떨어져도 소비자들은 거의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우진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윤용성 한우협회 강화군지부장은 “한우를 키운지 11년 됐는데 지금이 가장 어려운 때로 한우 한 마리를 출하하면 평균 200만 원 정도 손해를 보는 상황”이라며 “사료값은 오르고 한우값은 반토막난 상황에서 한우 농가들이 살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우농가들은 상환 기간 만기가 도래하고 있는 사료구매자금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포에서 2세와 함께 한우를 키우고 있는 한 한우농가는 “사료구매자금이 일시상환이라서 더욱 어렵다”며 “정책자금을 받아서 소를 키우고 소를 팔아서 갚아야 하는데 지금은 대출 상환 능력 자체가 없고 계속 손해만 보는 구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참석 의원들은 정부가 파격적인 결정을 해서 한우농가들을 도울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원택 의원은 “한우 수매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려 중이며 상임위 차원에서 정책 대안을 요청하겠다”며 “농식품부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연섭 과장은 이에 대해 “수매의 경우 도축·가공비를 들여 냉동창고에 넣으면 품질이 떨어져 100원을 투입하면 80원이 날라가고 20원만 남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정책적 대안을 고민해 보는게 좋다”며 “사료자금대출 상환기간 도래와 관련해서는 정부에서도 대상축종이나 금리 등을 검토 중에 있다”고 다소 긍정적인 답변을 내 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