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한우농가 상경, 한우 반납 투쟁
-지도자 삭발식 거행

전국의 한우농가 1만 2000여 명이 여의도에 운집해 한우 반납 투쟁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전국의 한우농가 1만 2000여 명이 여의도에 운집해 한우 반납 투쟁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한우농가들의 절규가 여의도 광장을 가득 채웠다. 

전국한우협회(회장 민경천)가 3일 서울 여의도에서 한우 반납 투쟁 집회를 개최했다. 한우농가 약 1만2000여 명은 버스 300대, 소 반납차량 등을 동원해 상경, 한우 반납 집회를 진행했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한우산업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폭등한 생산비 대비 한우 도매가격이 하락해 소 1마리 출하 때마다 약 230만 원 이상의 적자가 누적되는 절망적인 상황이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비싼 사룟값과 농가의 정성으로 키워보길 바라는 마음으로 소를 끌고 아스팔트로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우 지도자들이 삭발식을 단행하고 있다. 
한우 지도자들이 삭발식을 단행하고 있다. 

민 회장을 비롯한 한우지도자들은 이날 삭발식을 단행하며 한우농가들의 절규를 전했다.  

한우 반납 차량의 서울진입이 경찰들의 저지로 실패함에 따라 모형으로 만들어진 한우와 우사가 여의도 마당으로 들어오고 있다. 
한우 반납 차량의 서울진입이 경찰들의 저지로 실패함에 따라 모형으로 만들어진 한우와 우사가 여의도 마당으로 들어오고 있다. 

 

한우협회는 집회에 앞서 한우법(지속가능한 한우산업 지원법) 제정, 한우암소 2만 마리 긴급 격리(수매 대책 수립), 사료가격 즉시 인하, 사료구매자금 등 정책자금 상환기한 연장 및 분할상환,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주요 5대 요구사항과 함께 최저 생산비 보장 대책 마련, 2025년 농업(한우) 예산 확대, 산지가격-소비자가격 연동제 시행, 수입축산물 무역 장벽 마련 등 추가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사료값 폭탄과 한우가격 폭락으로 생활고를 겪고 있는 한우농가들의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료포대로 한우 우사를 부수는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사료값 폭탄과 한우가격 폭락으로 생활고를 겪고 있는 한우농가들의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료포대로 한우 우사를 부수는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한편 이번 한우반납 집회에는 당초 한우 반납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경찰이 이를 통제하면서 모형 소를 반납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