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일령 이상 오리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이 전체의 64%에 달하는 가운데 경기도 오리농가들이 조기출하 장려금과 겨울철 난방비 지원 등 보다 근본적인 AI 방역대책을 요구해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박하담 한국오리협회장과 김광배 협회 경기도지회장을 비롯해 경기도 오리농가들은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 최경묵 동물방역위생과장 등과 가진 간담회에서 AI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박 회장은 “최근 5년간 35일령 이상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비율이 전체의 64%로 충북에서는 겨울철 조기출하로 고병원성 AI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압일자 39일령 이하 출하농가에 마리당 400원을 지원하는 ‘조기출하 장려금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며 “충북은 AI가 다발했던 곳인데 이런 정책들로 꾸준히 노력하면서 AI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졌다”고 말했다.
김 도지회장도 “충북에서는 겨울철 난방비 지원으로 AI를 예방하는 데다 출하 중량도 연평균 253g씩 증가하면서 출하성적도 향상되고 있다”며 “연료지원 사업이 휴지기와 상반되는 사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산업이 존재하는 한 오리를 키우는 사람이 잘 키우는 것도 방역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강영 국장은 경기도의 ‘333프로젝트’를 언급하며 농가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국장은 “경기도에서는 3000농가를 선정해서 30% 소득을 올릴수 있도록 3년 동안 지원하는 ‘333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며 “경기도는 도시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곳으로 규제가 심화되고 있어 규모화는 어렵기 때문에 경영 합리화, 브랜드 정챡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국장은 이어 “농가들이 꾸준히 노력해 경기도의 오리산업이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하며 도와줄 수 있는 부분을 담당 부서와 심도 있게 논의해보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