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우산업 수급안정과 발전대책을 추석 전에 발표한다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 주재로 서울 서초동 소재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한우협회, 한우자조금, 한우협동조합연합회 등 생산자단체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학계 등 관련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우산업 수급안정 및 발전대책 관련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 축산정책관은 “추석을 앞두고 한우가격이 반등하고 있지만 지난해보다는 4.4%, 평년보다는 15% 낮게 형성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이런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뒷받침을 위한 축산법 개정 등을 고민하고 있으며 협의회에서 나온 내용을 반영해 내달 중 단기적으로 추진할 대책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추석을 앞두고 예상보다 한우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다 금리 인하와 10월 초 징검다리 공휴일 등의 영향으로 한우가격이 유지될 것이란 전문가들의 의견과 관련해서 생산자단체는 현장에서 한우고기가 적체되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 회장은 “마장동 등 유통현장에서는 한우 고기 판매가 안되 냉장고마다 적체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며 “우리나라 장병들에게 한우 120g씩 주면 40톤의 한우가 소진되는데 예산은 6억 정도로 군급식이나 단체급식에서 한우를 대대적으로 소진하는 등의 적극적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한우산업 발전대책과 관련된 업계의 건의사항으로 한우협회는 △한우 저탄소 사육밀도 직불금 도입 △근출혈 개선대책 마련 △국내산 조사료 이용 확산을 위한 지원강화를 요구했다. 농협 축산경제는 △사료가격안정기금 도입 △생산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생산 지원 확대 △한우 유전체 선발 기술을 활용한 유전적 개량 향상 △군납 한우 소비촉진 행사 추진 등을 건의했다.
김 축산정책관은 “국제곡물가격이 내려가고 환율이 안정되고 있어 선제적으로 반영해 배합사료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며 “각계의 의견을 취합해 지속가능한 한우산업 발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예산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