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축산관련단체협의회가 27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한국형 농업인 소득경영안전망 구축 방안’에 축산 부문이 연구용역 단계에 포함된 것과 관련 환영 의사를 피력했다.

축단협은 성명을 통해 “본격적인 도입이 이뤄지지 않은 점은 아쉬움은 남지만 이번 구축 방안이 축산농가의 경영 안정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첫걸음이 되길 기대한다”며 “특히 소에 대한 가축질병치료보험 시범운영계획과 축산물 수입안정보험 도입 등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은 축산농가의 경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 밝혔다.

축단협은 “이 같은 연구결과가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축산농가의 위험관리 능력을 높이고 경영 안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한돈을 비롯한 주요 축종에 대한 수입보장보험 도입이 적극 검토돼 빠른 시일 내에 정책 시행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축산업은 이상기후, 국제 곡물가격 상승, 가축질병 등 다양한 위험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에 축단협은 생산비 상승과 소비 감소로 축산농가의 경영 여건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소득경영안전망은 절실히 요구된 제도라고 설명했다.

축단협은 축산 부문이 연구용역 단계에서나마 포함된 점은 환영하지만 축산업이 국가 식량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한 만큼 향후 소득경영안전망 구축에 있어 축산 부문에 더 많은 비중을 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축단협은 “소득경영안전망 구축 방안을 통해 정부가 축산물의 선제적 수급관리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이번 방안 마련이 농가 보호라는 농식품부의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정책을 수립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축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