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희망재단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 해양수산인재개발원을 통해 실시한 ‘청년어업인 영리더 양성과정’에 참여한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들이 교육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 해양수산인재개발원을 통해 실시한 ‘청년어업인 영리더 양성과정’에 참여한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들이 교육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하 농어촌희망재단)은 해양수산인재개발원을 통해 해양수산부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2일까지 3일간 ‘청년어업인 영리더 양성과정’을 실시했다.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은 수산분야 청년인력 유입과 정착구조 마련을 위해 대학 졸업 후 어업과 수산업 분야 취·창업 의무종사(4년)를 조건으로 참여 대학교의 확인·추천과 서류심사, 전문가 평가를 통해 선발됐다.

이번 교육은 청년창업어업인들의 안정적인 어촌 정착과 취·창업 지원을 위해 △스마트 양식기술 발전 방향 △창업·마케팅 전략 △창업 계획서 작성·피드백 △청년 창업 우수사례 △현장학습 등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을 위한 맞춤형 과정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어촌 연안 활력 제고 방안 △어촌 활성화를 위한 청년 어업인의 역할 등 어촌에 대한 희망과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청년창업어업인 장학생이 어촌의 미래를 이끌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내실있게 운영했다.

장학생으로 선발돼 본 과정에 참여한 이민승 부경대(해양수산경영학과) 3학년 학생은 “이번 교육을 통해 6차 산업에 대한 학습과 현업 전문가의 현실적인 조언을 듣고 어업과 가공·서비스를 함께 계획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며 “어업 현장과 수산업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다듬는 시간이 돼 매우 만족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조용현 경상대(해양수산경영학과) 2학년 학생도 “청년어업인 영리더 과정을 통해 수산·어업 현장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스타트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수 있게 됐다”며 “어업인으로서의 고민을 덜고 다양한 현장을 경험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됐다”고 밝혔다.

이에 정학수 농어촌희망재단 이사장은 “수산 분야 취·창업 진출에 뜻을 둔 청년 인재들이 어촌·어업의 이끌 청년창업어업인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