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구제역(Asia 1형) 발생 대비 중앙-지자체 통합 가축방역훈련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제주시 합동,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모습.
농림축산식품부‧제주시 합동,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모습.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30일 제주특별자치도와 합동으로 행정안전부, 농림축산검역본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농협, 전국한우협회, 대한한돈협회, 국민체험단 등 약 130명이 참여해 농식품부 재난상황실과 제주시 가축방역인프라센터 현장을 이원 통합연계해 가상 구제역 발생 대비 ‘2024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하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

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대규모 재난 대비 재난관리책임기관과 일반국민이 참여, 범국가적 재난대응체계 종합점검을 매년 정기 실시한다.

농식품부는 코로나 조치 완화 후 중국, 동남아 등으로부터 구제역 등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의 국내 유입 위험성이 높은 상황과 제주특별자치도의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지역 인증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와 연계해 안전한국훈련을 진행했다.

농식품부는 국내 발생 사례가 없었던 새로운 유형인 ‘Asia 1의 구제역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상황파악(발생피해 확인)과 방역조치(대응조치 및 수습복구)과정에서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른 기관별 위기 대응역량과 협력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현장 방역조치 과정 중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해결방안 등에 대해 집중적인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을 주관한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은 구제역 등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은 언제든지 국내로 유입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훈련을 통해 평상시 관계기관·지자체 등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응역량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이번 훈련을 통해 발굴한 개선사항은 관련 매뉴얼 개정과 함께 훈련성과가 방역 현장에 즉시 적용되도록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