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농협중앙회의 벼 매입농협 손실보전 등을 골자로 한 쌀값 안정 대책 발표 이후 벼 수매가가 지난해 수준까지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지난 11일 농업인의 날 행사에서 벼 수매자금을 3조 원까지 확대해 지급하며 벼 수매가를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결정하는 농협에 대해 손실분을 보전하고 소비지에서 쌀 제값받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농업 현장에서는 지역농협이 지난해산 벼 수매 이후 쌀값 하락으로 입은 손실을 보전받고 농업인 조합원은 수매가 인상 요구에 적극 부응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려는 움직임이 전해지고 있다.

이보형 농협 벼 전국협의회장(광천농협 조합장)은 “농협이 지난해 역대 최대 물량인 200만 톤을 매입했으나 지속적인 쌀값 하락으로 올해는 수매가를 시세에 맞게 낮추거나 수탁으로 전환하려는 조합이 많았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농협중앙회의 이번 쌀값 안정 대책은 농업인 조합원이 원하는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까지 수매가를 올릴 수 있는 선택지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보다 신중하게 검토 중인 농협도 있다. 올해 수매가를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결정해 지난해산 벼 수매에 따른 손실을 보전받더라도 올해산 쌀값이 또 다시 하락하면 지역조합은 다시금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병완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전국협의회장(보성농협 조합장)은 “농협중앙회의 발표를 반기는 농협이 많지만 지원 범위와 방식이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아 의견을 모으는 조합도 있다”며 “관련 대책이 마련되고 지침이 내려오면 여러 조합들의 의견을 모아 실질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농업인 조합원의 요구를 무시하기 어렵다는 농협의 특성상 전국 평균 벼 수매가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김철규 전남 문내농협 조합장은 “이번 발표로 지역의 한 조합이 수매가를 지난해 수준으로 올릴 경우 인근 조합도 따라서 수매가를 올릴 수밖에 없다”며 “올해 수매를 통해 손해를 보더라도 일단 지난해산에 따른 손해부터 보전하는 게 먼저라고 판단할 조합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올해산 쌀 공급량이 크게 감소할 것이란 전망도 지역농협의 수매가 인상 결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지난 15일 발표한 올해산 쌀 생산량은 지난해 보다 11만8000톤, 3.2% 감소한 358만4604톤이다. 이는 지난달 예상 생산량에 비해 7만2000톤이 줄어든 물량이다. 이같은 생산량 감소에 정부가 추진 중인 시장격리 물량까지 감안하면 내년 단경기에는 계절진폭이 나타나 올해보다는 적자폭이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지난 15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쌀값 안정을 위해 △시장격리·공공비축미 56만 톤과 피해벼 매입, 산물벼 8만 톤 인수 연말까지 완료 △수급상황 소통 강화·부정유통 단속 연장 △벼 매입자금 확대 지원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 논의 등을 통해 쌀값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