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농촌‧농산업의 미래 주역인 청년들과 청년정책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는 대화의 장을 마련해 주목을 받았다.
농식품부는 지난 16일 대전 호텔ICC에서 ‘농업‧농촌‧농산업의 미래! 청년 소통의 장’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청년들의 성과 홍보와 분야별 청년들의 소통과 교류를 지원하고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농업‧농촌‧농산업에 종사하는 청년들과 농식품부 2030 자문단, 청년 우수사례 수상자 등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 청년들의 우수 성과에 대한 시상식, 제1기 농식품부 2030자문단의 성과 발표, 제2기 2030자문단 위촉식, 청년들과 장관과의 대화 등으로 진행됐다.
사전 행사에서는 서로 인접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각 분야의 청년들이 함께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경기‧강원‧충청‧전라‧경상의 5개 권역별로 청년 네트워크를 구성했으며, 이를 계기로 각 지역의 청년들이 모임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운영해나갈 계획이다.
본행사에서는 5개 분야에 대한 우수사례 시상식이 마련돼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분야에서 농촌발전 유공 국무총리상과 청년농 영농정착지원사업, 우수 팀프로젝트, 스마트축산 청년서포터즈 우수 멘토단, 농촌에서 살아보기 우수사례에 대한 농식품부 장관 표창 등 11명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다.
시상식 이후에는 제1기 농식품부 2030자문단의 우수성과 발표 시간을 가졌다. 농식품부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2030세대로 이뤄진 자문단을 운영중이다. 그동안 제1기 자문단은 총 52건의 정책제안을 했으며, 이중 23건이 정책으로 반영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영농정착지원금을 받아 영농중인 청년들이 가공‧체험사업으로 확장하는 경우 본인이 생산한 농산물만 원료로 사용하도록 제한돼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지적, 정부는 본인이 생산하지 않은 농산물도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또한 청년들이 농촌 유휴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빈집 정보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정부는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빈집정보플랫폼(빈집정보알림e)을 통해 세부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확대 요청과 관련해서도 스마트팜, 그린바이오, 푸드테크 관련 창업‧연구지원시설에 청년들이 우선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들과 장관과의 대화 시간에서는 농업 분야에서의 규제 완화, 지원사업 개선, 스마트팜 지원 확대, 빈집 활용도 제고 방안, 농업과 식품‧외식 기업 간 계약재배 확대, 청년기업 지원 강화 방안 등에 대한 청년들의 질의가 이어졌으며, 이에 송미령 장관은 청년들의 영농이나 농촌 창업을 저해하는 규제를 개선하고 청년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송 장관은 “청년들이 본인들의 성장뿐만 아니라 농업‧농촌‧농산업의 발전에 크나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알 수 있었다”며 “청년들의 끝없는 도전과 성공이 가능하도록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