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축산물품질평가원(이하 축평원)은 스마트축산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축산 데이터 표준화 가이드북’을 제작하는 등 표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축평원에 따르면 그간 축산농가와 산업체, 소비자 등은 스마트축산 데이터가 가진 높은 가치에 비해 표준화가 부족해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제기해 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축평원은 한우·젖소·양돈·가금(양계) 4개 축종에 대한 데이터의 정의·구조·관계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긴 ‘스마트축산 데이터모델 국가표준(KS)’ 제정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 심의를 거쳐 KS가 제정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축평원은 축종별 데이터모델 국가표준(안)을 담은 표준화 가이드북을 발간했다. 해당 가이드북에는 △축종별 인용표준 △ICT 기자재 종류와 구성 △데이터 활용 모델 예제 등 스마트축산 데이터의 수집·저장·공유·활용 과정에서 따라야 할 표준 데이터 규격이 구체적으로 제시돼 있으며, 축평원 축산유통정보 사이트와 올해 신규 오픈 예정인 ‘스마트축산 빅데이터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병홍 축평원장은 “앞으로도 축산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 향상, 효율적 데이터관리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축산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