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강형석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왼쪽부터 일곱번째)가 K-Food 수출업체인 (주)화요를 방문, 관계자들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점검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강형석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왼쪽부터 일곱번째)가 K-Food 수출업체인 (주)화요를 방문, 관계자들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점검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동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불확실성과 일본 엔화의 약세,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등 어려워진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7일 지난해 K-Food+ 수출액이 전년보다 6.1% 증가한 130억3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부문별로는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99억8000만 달러, 전후방산업은 전년 대비 2.4% 감소한 30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K-Food+ 수출의 주요 특징으로는 라면, 농약, 과자류, 음료, 소스류, 커피조제품, 쌀가공식품, 김치, 펫푸드, 리큐르, 닭고기, 아이스크림, 유자, 포도 등 무려 14개 품목이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한 것과 수출시장이 확대된 점을 꼽을 수 있다. 지난해 스마트팜 수출국은 12개국으로 전년보다 3개국이 늘었으며, 농식품 수출국도 207개국으로 전년보다 8개국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라면과 쌀가공식품이 각각 12억4850만 달러, 2억9920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 대비 31.1%, 38.4% 증가하면서 전체 농식품 수출을 이끌었다. 신선식품 중에는 김치가 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냉동김밥 성장을 주도한 미국, 건강식에 관심이 높은 유럽, 라면 수요가 증가한 중남미에서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인 가운데 미국 수출이 15억9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농산업 분야에서는 수출액 비중이 큰 농기계와 스마트팜의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사료(펫푸드)·동물용의약품·농약 등 유망품목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화요 관계자들과의 간담회 모습.
(주)화요 관계자들과의 간담회 모습.

한편 강형석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지난 7일 경기 여주시 소재 증류식 소주 수출기업인 (주)화요를 방문해 K-Food 수출에 격력해준 간담회를 갖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강 실장은 이 자리에서 “역대 최대 수출 실적 경신은 수출기업의 제품‧기술 개발, 마케팅 노력과 국내 생산부터 현지 홍보에 걸친 정부의 수출 전단계 지원이 더해진 민‧관 수출 원팀이 이룬 쾌거”라고 평하며 “올해 국내외 통상환경에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한류와 K-푸드의 인기, 농기계 시장의 성장세 등을 기회요인으로 활용, 수출 확대 추세를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박유신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