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두현 기자]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올해 ‘농식품 유통이슈 10’ 조사 결과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 생산·유통 체계 개선 요구 증대’가 올해 이슈 1위에 선정, 2년 연속 기후변화 관련 사안이 가장 큰 이슈로 꼽히며 해당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경종을 울렸다.
신유통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농산물 생산량이 감소하며 수급 불안과 가격 변동성이 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최근 폭염·폭설·폭우 등 심각한 수준의 기상재해가 일상화되고 있으며 특히 지난해 여름 전국 평균기온은 25.6도로 평년보다 1.9도, 이전에 가장 높았던 2018년보다 0.3도 높았다. 신유통연구원은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농업인은 경영 위험 부담이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장바구니 물가 상승이라는 문제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적극적인 농산물 생산·유통 체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높아지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관련 정책·사업을 총괄하고자 ‘농식품 기후변화 대응센터’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예측·관측 고도화, 주요품목 신규산지 육성, 기후 적응형 품종 현장 적응 실증단지 조성 등의 사업을 통해 기후변화에도 농산물 수급 불안을 최소화하도록 과학·데이터를 기반으로 농업 생산·유통 가치사슬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유통이슈 2위에는 ‘농가 인력난 해소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 확대’가 선정됐다. 2023년 기준 65살 이상 고령 농가인구 비율은 52.6%이며 40대 미만 청년 농가 비중은 0.5%에 불과해 농촌의 고령화와 그에 따른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줬다.
이처럼 농업계는 외국인 근로자가 필수적인 처지이지만 단기 계절근로자(E-8), 중장기 고용허가제(E-9, H-2)는 제도적 한계로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숙련기능인력제(E-7-4) 역시 2023년 전체 쿼터 3만5000명 중 농축산업 분야에선 1.7%인 584명만이 선발됐다.
이에 신유통연구원은 외국인 근로자 비자 제도의 현실화, 쿼터 확대, 체류 기간 연장 등 대대적인 비자·이민 정책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온라인 거래의 급격한 상승세를 보여주듯 유통이슈 3위에는 ‘온라인 플랫폼 확산에 따른 소비 구조의 변화 대응’이 선정됐다.
신유통연구원에 따르면 식품 분야의 온라인 거래액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지난해에는 매출액이 50조 원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이커머스 유통기업, 지방자치단체, 생산자단체 등이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며 농산물의 온라인 거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역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추진하면서 입점 업체 수수료를 인하한 온라인 플랫폼을 대상으로 가격·수급 안정 사업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것이라 밝혀 온라인 시장 성장은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외에도 올해 유통이슈에는 △농촌 소멸지역 인구 유입 위한 정부와 지자체별 대책 마련 촉구 △계속되는 농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생산비 급등 우려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선제적 수급관리체계 구축 △국제 정세 불안정, 고환율 등에 따른 식량안보 대응 강화 △직거래 유통 확산 등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추진 본격화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등 디지털 전환과 빠른 산지 정착 유도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 신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 확대 등이 선정됐다.
신유통연구원 관계자는 “올해 유통이슈로 생산·유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문제가 선정된 만큼 녹록지 않은 한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농업과 과학·첨단기술의 결합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고 밝혔다.
한편 신유통연구원은 2007년부터 농식품 유통시장의 변화를 예상하고 분석하고자 웹진 독자를 대상으로 유통이슈 조사를 진행해 올해로 19회를 맞았다. 올해 유통이슈는 지난달 9일부터 20일까지 총 202명의 독자가 투표에 참여해 선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