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농식품 분야 수출을 견인하며 성장 중인 쌀가공식품업계가 정부의 정부양곡 공급 축소로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위기를 맞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발표하면서 민간 신곡 활용 확대를 위해 가공용 정부양곡 공급을 내수용 햇반류 등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제한하겠다고 밝히면서 쌀가공식품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농식품부에서는 2023년 35만6000톤이던 정부양곡 공급 규모를 지난해 35만1000톤, 올해 34만 톤 등 2029년 30만 톤까지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정부가 이처럼 정부양곡 공급을 축소하는 대신 정부양곡에서 민간 신곡으로 전환하는 식품기업에 대해서는 정책자금 우대를 적용하겠다고 했지만 업계의 불안과 불만은 확대되고 있다.
가공용 정부양곡의 경우 kg당 단가가 1000원인데 반해 민간 신곡은 2500원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계약재배를 통해 공급받는 경우도 2000~2200원 수준으로 정부양곡과는 공급단가가 두 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특히 우선 공급을 제한하기로 한 햇반류 등은 가공용 쌀 소비 확대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이번 공급 제한이 쌀가공식품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통계청의 지난해 사업체부문 쌀 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업체부문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5만6241톤(6.9%) 증가했는데 면류·마카로니 등 유사식품, 과자류·코코아 제품, 장류, 떡류, 탁주·약주, 전분제품·당류 등이 각각 전년대비 32.1%, 19.8%, 19.7%, 6.7%, 4.4%, 1.6% 감소한 반면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주정, 도시락류, 기타 곡물가공품 등이 각각 25%, 16%, 9.8%, 8.5% 증가하며 전체 쌀 소비 확대를 견인했다.
이에 쌀가공식품업계에서는 정부양곡 공급 감소가 업체의 수익성을 악화시켜 제품 가격 인상이나 대체 원료 사용, 사업 포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며 안정적인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쌀가공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농식품 수출 분야에서 쌀가공식품은 지난해 전년 대비 38.4% 성장한 3억 달러를 수출했고 국내 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수요처로도 주목받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이미 여러 차례 쌀가공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해놓고 정부양곡 공급을 줄이겠다고 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정부양곡 공급을 줄이면 민간 신곡을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업체 입장에서는 사업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제품 가격을 올리거나 대체 원료를 찾게 될 것”이라며 “하지만 제품 가격은 이미 저항선에 근접해 올리기 쉽지 않은 만큼 쌀을 대체할 다른 원료를 찾으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가공산업은 쌀 의무수입 물량이 들어오면서 가공용으로 특별 처분하기 위해 만들어져 유지됐으나 현재는 식품산업계에서 가장 크게 성장한 만큼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시기가 됐다”며 “민간의 기능을 확대해 시장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계약재배 등을 통해 민간 신곡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