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전북대·중앙대 연구진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과 김원일 전북대 교수팀, 김준모 중앙대 교수팀 연구진이 공동으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를 최근 규명해 귀추가 주목된다.
이들은 4주령 돼지에 PRRS 바이러스를 각기 다른 강도로 접종하고 임상 증상과 기관지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분석해 면역 반응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PRRS 바이러스는 핵심 면역세포인 폐포 대식세포를 감염시키는데 바이러스의 병원성 차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면역 관련 대사물질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고병원성 PRRS 바이러스는 빠른 증식으로 간질성 폐렴을 유발하고 면역세포를 감소시켰지만 중·저 병원성 바이러스로 인한 폐 손상은 상대적으로 완만했다. 또한 감염된 세포가 비감염 대식세포의 감염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RS 바이러스는 변이율이 높고 병원성이 다양해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어렵고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번식 장애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심할 경우 폐사에 이르는 심각한 질병이다.
PRRS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 연구결과는 다양한 병원성을 동시에 분석한 것으로 바이러스 감염 억제나 증상 완화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Nature Communication)에도 게재됐다.
윤호백 축과원 동물유전체 과장은 “꾸준한 연구 협력으로 PRRS 바이러스 감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발판을 확보했다”며 “축과원을 중심으로 공동 연구에 매진한다면 PRRS 바이러스 감염 피해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