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귀농·귀촌 실태조사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귀농인 절반 이상이 자연환경이 좋아서나 가업승계를 이유로 귀농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농 이전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농업소득의 차이가 2배가량 벌어져 사전 준비기간 체계적인 교육이 중요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년간(2019~2023년) 귀농·귀촌한 60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9~11월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한 ‘2024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지난 4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 이유를 묻는 질문에 ‘자연환경이 좋아서’가 31.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가업승계’가 20.0%를 차지해 절반 이상이 자연환경과 가업승계를 꼽았다. 이밖에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 19.8%, ‘가족·친지와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 15.4%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30대 이하 청년층의 경우 귀농 이유로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30.5%)’을 가장 우선순위로 꼽은 가운데 가업승계 이유를 포함시 응답률이 57.6%에 달했다.
이와 관련 귀농 경력 5년차의 연평균 가구소득은 3621만 원으로 귀농 첫해 가구소득 2763만 원과 비교시 31.1%가 증가했으며, 이중 농업소득은 1600만 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농교육을 이수한 농가의 농업소득이 교육을 받지 않은 농가에 비해 높아 교육 이수 가구의 귀농 5년차 농업소득은 2152만 원인 반면 교육 미이수 가구의 경우 1118만 원에 그쳤다.
이밖에 귀농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U)형이 74.3%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 30.1개월, 재배작목은 비교적 재배가 용이한 채소(30.8%)와 논벼(27.9%)가 많았다. 더불어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정부의 정책으로는 농지·주택·일자리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많았다.
이에 윤원습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정부는 귀농·귀촌종합센터를 중심으로 농업일자리 탐색·체험교육, 청년귀농 장기교육, 온라인 귀농·귀촌교육 등 귀농·귀촌 희망자의 특성에 맞춘 교육을 더욱 충실하게 추진하겠다”며 “더불어 귀농·귀촌 종합포털 ‘그린대로’를 통해 폭넓고 다양한 정보를 이용자에 맞춰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