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가루쌀을 원료로 개발된 제품들 전시 모습.
가루쌀을 원료로 개발된 제품들 전시 모습.

올 한해 밀·콩·가루쌀 등 전략작물을 활용한 제품개발 사업에 참여할 60개 식품기업이 선정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올해 전략작물 제품개발 지원사업에 참여할 식품기업으로 밀 19개소, 콩 21개소, 가루쌀 26개소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쌀 수급 불균형 완화와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밀·콩·가루쌀 등 주요 식량작물을 전략작물로 지정, 2023년부터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작물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올해 사업을 신청한 139개 업체의 전략작물 활용계획, 판매·유통 역량, 제품의 사업성 등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거쳐 60개 업체를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에는 총 99억 원을 투입해 전략작물을 활용한 시제품 생산, 포장, 소비자평가, 홍보까지 신제품 개발 전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작물별로는 국산 밀의 경우 빵, 떡볶이, 과자, 국수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네니아’는 호떡꽈배기를 출시해서 학교급식, 공공기관 등에 납품을 추진하고 ‘잇더컴퍼니’는 비건 우리밀쫀드기를 개발해 해외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올해 신규 선정된 ‘홍두당(근대골목단팥빵)’은 주요 인기품목인 단팥빵을 기존 수입밀에서 100% 국산 밀로 대체할 계획이다.

국산 콩으로는 두유 외에도 간장, 콩기름, 단백질 파우더 등을 개발한다. 매일유업은 국산 검은콩을 활용한 콩함량 99.9% 고단백 두유를 개발할 예정이며, 건국유업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서리태 청자 5호를 건국유업 농장에서 직접 재배해 서리태 두유를 출시할 계획이다.

가루쌀은 수입 밀가루를 대체하면서도 쌀의 특성을 지닌 원료인 만큼, 빵, 과자, 면, 프리믹스, 음료 등에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지자체와 지역기업이 협력해 가루쌀과 지역 특산물이 결합한 제품을 개발하는 기획형 공모를 첫 도입, 해남군과 관내 업체들이 참여해 가루쌀 해남 고구마빵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난해 가루쌀을 활용한 과일시루와 쌀베이글을 각각 출시했던 성심당과 뚜레쥬르는 케이크류와 식사용 빵류를 추가 개발할 예정이다. 또 사조동아원과 대두식품은 기름을 덜 흡수해 더욱 바삭한 식감을 낼 수 있는 가루쌀의 특징을 활용, 프리믹스 제품류를 개발할 예정이며, 안정된 유통망을 갖춘 애슐리퀸즈, 명랑시대에서도 피자, 핫도그 등을 개발해 소비자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계획이다.

이들 60개 업체의 밀‧콩‧가루쌀 신제품은 연내 출시될 예정이며, 대형마트, 홈쇼핑 등 주요 유통채널과 협업하여 공동 할인 행사 등 판촉전을 추진하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전략작물 가공식품 판매몰’을 개설해 할인 쿠폰, 가루쌀 기념품 제공 이벤트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생산‧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마케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밀·콩·가루쌀 등의 전략작물은 논에 벼를 대체해 심을 수 있어 쌀 수급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먹을 거리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순기능을 갖고 있다”며 “전략작물이 산업으로서 조속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수급안정과 수요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