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역본부
돼지질병 분야별협의체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돼지질병의 현황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돼지질병 분야별협의체’를 지난 20일 김천 검역본부에서 개최했다.
이번 협의체는 검역본부와 민관산학 전문가 18명이 참여해 최근 현장에서 문제되는 돼지질병 발생상황을 공유하고 맞춤형 백신 플랫폼 개발과 승인 절차 간소화, 신고 의무 질병 수준으로 전환, 백신의 수의사 처방 등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김원일 전북대 교수는 발표를 통해 미국과 중국의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훈군(PRRS) 감염 농장에서 40~50%를 차지하는 고병원성 PRRS(NADC34-like Lineage 1A: L1A)가 국내에서도 10%의 발생률을 기록하고 있어 확산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임신모돈의 높은 폐사율과 유산율, 수직 감염으로 인한 자돈 폐사 피해가 심각하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백신 개발과 신속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PRRS 뿐만 아니라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등 전반적인 돼지질병에 대한 현장 대응 기술과 정책적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첫째, 산업계 참석자들은 PRRS에 대한 생독백신과 사독백신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변이주 출현에 따른 백신의 효과 감소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기존 백신의 안정성과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백신 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백신 개발과 승인 절차의 간소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둘째, 학계 전문가들은 PRRS 변이에 대응하기 위한 플랫폼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플랫폼 백신이 농장 맞춤형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질병 유형별로 제시했다. 질병 유형별 백신 평가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셋째, PRRS와 PED 백신 오남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돼지전문 수의사의 정확한 진단에 근거한 백신 처방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강동윤 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은 “검역본부는 이번 협의체에서 제안된 의견을 연구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산학 협력을 통해 돼지질병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공동연구기관인 몽골생명과학대학 연구팀은 지난 10일부터 지난 21일까지 검역본부를 방문, 몽골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과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검역본부는 공동연구 추진과 몽골 현지 야생조류 예찰 전략 협의 등을 통해 국제 연구 협력 체계를 강화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