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두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1분기 식품 수입 규모가 20만3000여 건, 86억6000만 달러(12조4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9%, 3.5% 증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식품을 수입한 국가는 총 150개국이며 미국·중국·호주 3개국이 전체 수입량의 58.5%를 차지했다.
품목군별로 살펴보면 가공식품이 25억6000만 달러로 29.6%를 차지했으며 축산물이 21억5000만 달러로 24.8%, 농·임산물 17억600만 달러, 19.7%, 수산물 10억2000만 달러, 11.9% 순이었다.
특히 양파·양배추·감귤 등 신선 농산물은 수입량이 37만9000톤으로 지난해 대비 13.5% 증가했는데 이는 정부가 저율할당관세(TRQ)를 적극적으로 운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식품 제조 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밀은 57만1000톤, 옥수수는 59만4000톤으로 각각 수입량이 22.7%, 6.7% 감소했다. 식약처는 최근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입량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했다.
더불어 최신 유행과 소비 흐름에 따른 식품 수입 변화도 눈에 띄었다.
요거트 아이스크림에 다양한 토핑을 얹어 먹는 것이 인기를 끌어 벌집꿀 수입액은 38만5000달러로 지난해 대비 2만5885% 증가했다. 또한 땅콩버터 다이어트의 유행으로 땅콩버터 수입액은 870만 달러, 견과류는 1억2000만 달러로 각각 지난해 대비 101.7%, 38.1% 증가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경제성을 고려한 소비 심리도 식품 수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간단하게 데우거나 끓여서 먹을 수 있는 밀키트와 같은 즉석조리식품의 수입액은 440만 달러, 수산물을 손질·가공한 필레 형태 제품은 1억4000만 달러로 각각 지난해 대비 114.5%, 64.9% 증가했다.
와인·샴페인 같은 과실주의 수입량은 1만8000톤으로 지난해 대비 47.9% 증가했지만 수입액은 1억 달러로 8.1% 감소했는데 식약처는 최근 합리적인 가격과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 행태가 반영된 것으로 설명했다.
식약처의 식품 수입과 관련된 자세한 통계자료는 수입식품정보마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