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준공된 충남 당진 스마트축산단지 점검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관제센터를 둘러보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관제센터를 둘러보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9일 충남 당진시 고대면에 위치한 스마트축산단지(이하 단지)를 찾아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성과 확산을 위한 현장 행정을 이어갔다.

스마트축산단지 조성 사업은 노후·난립 축사를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구비한 단지로 집적화하고 스마트화해 생산성 향상과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2019년부터 시작한 정부 지원사업이다.

이번에 방문한 당진 단지는 전국 최초 준공된 사례로 총 13.9ha 부지면적에 바닥면적이 축구장 면적의 1.1배에 해당하는 7210의 대형 스마트축사 5개 동과 60마리 젖소를 동시 착유할 수 있는 공동 착유장, 젖소의 일일 착유 횟수와 착유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해 관리하는 ICT 관제센터 등으로 구성돼 있다.

5월 현재 젖소 888마리를 사육 중이고 1일 평균 착유량은 27000kg으로 이는 학교 급식 우유 200ml로 환산할 경우 약 135000개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운영 초기임에도 착유와 사양관리를 전문화·분업화해 생산성 향상(150%)과 맞춤형 개체 관리로 가축 관리비 절감(15%) 등의 성과를 보이면서 축산업계의 관심과 문의가 집중되고 있다.

송미령 장관은 당진 스마트축산단지는 5년에 걸쳐 민관이 협업해 준공한 첫 사례로 생산성 향상 등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고 노후 축사를 대체해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향후 당진 단지가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농촌공간재구조화법에 따른 모범 축산지구로 육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이 이경용 당진낙농축협 조합장(왼쪽에서 다섯 번째)을 비롯해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이 이경용 당진낙농축협 조합장(왼쪽에서 다섯 번째)을 비롯해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료정리 로봇 모습.
사료정리 로봇 모습.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