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의사회, 정책 제안 기자 간담회 개최
동물질병 전담조직 '동물질병청' 신설 촉구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는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정부에 반복되는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인플루엔자의 해결과 항생제로부터 안전한 국민 안심 축산물 공급을 위한 ‘농장 전담 수의사 제도' 도입 등 수의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달 27일 대한수의사회 산하단체 협의회 사무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허주형 대한수의사회장과 참석한 수의계 주요 인사들은 전문가인 수의사를 중심으로 민간 중심의 방역 체계 마련과 패러다임 재편이 필요하다는 데 목소리를 같이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종영 한국돼지수의사회 회장, 송치용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 최이돈 한국동물병원협회 회장, 박효철 미래신사업추진단 단장 등이 참석했다.
허주형 회장은 “방역, 검역, 식품위생 등 공중보건 영역에서 수의사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강화하고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면서 “살처분 등 봉쇄방역에서 상생·소통방역으로의 동물방역 패러다임 전환과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민간 중심의 방역체계 마련, 농장의 항생제 사용 책임제 시행으로 안전 축산물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종영 한국돼지수의사회장은 “우리나라는 방역 현장에 공무원이 중심이지만 해외 주요국은 수의사가 방역의 주체”라며 “현재 우리는 수의사의 활동은 제약되고 공무원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어 역할 분담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가축방역관이 부족하다고 하지만 이는 오히려 민간 수의사의 전문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농장 전담 수의사 제도를 통해 민간 수의사가 공수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면 인력 부족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송치용 한국가금수의사회장도 “동물 진료와 관련해 농가들의 인식은 동물약품이나 사료회사에서 해주는 서비스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대부분 무료 진료에 익숙한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국가 차원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축산현장의 항생제 오남용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도 지적됐다. 진단 없이 항생제를 사용하는 ‘자가 진료’ 관행이 현장에서 만연하고 이는 결국 축산물 안전성과 국민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지적이다.
최종영 회장은 “국가 차원에서 축산 이슈는 항생제”라며 “유럽처럼 수의사가 항생제의 사용을 통제·관리하는 구조가 필요한데 농장동물 전담 수의사 안에 책임 수의사 개념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수의사회는 예상되는 동물유래 보건위해 방지를 위한 동물질병 전담조직인 동물질병청 신설을 촉구했고 동물용의약품 유통 체계 개선과 수의사처방제 실효성 확보를 위한 약사법 개정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