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센터는 지난달 29일 강원특별자치도 평창 소재 한우연구센터 초지에 한우 암소 200여 마리를 방목했다.
한우연구센터는 900여 마리 한우를 체계적으로 사육·관리하고 있으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한우 육종·개량, 영양·사양·번식 기술을 개발 중이다.
2009년부터는 보증씨수소(KPN) 정액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씨수소 선발·교배를 통해 만든 축군과 성장 능력 위주로 교배·선발하는 최대 성장 계통, 육질 능력 위주의 최고 육질 계통 세 종류의 한우 축군을 조성해 사육하고 있다.
이번에 방목된 한우는 이 중 일부로 임신하지 않았거나 젖을 뗀 암소를 중심으로 선발됐다. 방목 한우는 보통 5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5개월간 초지에서 생활하며 풀이 자라지 않는 늦가을 축사로 다시 돌아간다.
올 방목 기간에는 180ha 규모 초지를 14개 구역으로 나눠 한우가 각 구역을 순환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한우 암소는 500kg을 기준으로 하루 60~70kg 정도의 풀을 섭취한다.
축과원에 따르면 방목 상태로 사육한 한우는 축사에서 사육한 개체보다 수태율이 약 3.5%, 분만율은 약 18.3% 더 높다. 이는 자연 체광과 운동량 증가, 초지의 다양한 식물 섭취 등이 호르몬 분비와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윤호백 한우연구센터장은 “한우 방목은 생산 효율성 외에도 한우 건강 관리와 번식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며 “매년 실시되는 방목을 통해 한우가 건강하게 여름을 날 수 있도록 돌보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