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19일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에 업무보고
식량안보 강화, 농업인 소득·재해안전망 도입, 농촌 기본소득·햇빛연금 도입,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 확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새 정부 농정과제 논의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이재명 정부의 농업·농촌분야 국정과제를 마련하기 위한 작업이 본격화 됐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18일부터 부처별 업무보고를 받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도 지난 19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농어업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경제2분과에 업무보고를 실시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업무보고에는 이춘석 경제2분과장과 경제2분과 기획위원·전문위원, 박수진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 등 주요 간부들이 참여, 농식품부의 주요 현안업무와 함께 소관 공약들의 이행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농식품부는 이 자리에서 주요 농산물 수급안정 등 현안과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미래전략산업으로서 농업, 국가균형발전과 에너지 전환의 거점으로서 농촌을 자리매김시키기 위한 과제들을 보고했다.

특히 갈수록 심화되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식량안보 강화와 선진국형 소득·재해안전망 구축, 살고 싶은 농촌만들기 등 공약 실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의 업무보고에 기획·전문위원들은 농업을 식량안보와 미래전략산업으로서의 위상을 제대로 자리매김시켜야 한다며 정부가 천원의 아침밥, 농식품 바우처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먹거리 대폭 지원을 강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유통구조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농촌 주민의 소득 지원과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농업·농촌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 줄 것을 당부하고 농촌 빈집 정비·활용, 농촌 교통모델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과제 발굴도 주문했다.

이춘석 경제2분과장은 “정부가 쌀 산업과 농지, 농협 제도 개선, 재해에 대한 공적 부문의 역할 강화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새 정부 국정과제에 농업·농촌 발전에 필요한 정책을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16일 출범한 국정기획위원회는 앞으로 60~80일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를 정리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