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정부가 전 세계적인 케이(K)-푸드 인기에 편승해 기생하고 있는 위조상품 근절을 통해 K-푸드 브랜드 보호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특허청은 지난달 30일 서울 양재동 소재 에이티(aT)센터에서 ‘2025년 상반기 K-푸드 위조상품 대응 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전 세계적인 K-푸드 인기에 편승해 해외에서 저가·저품질의 위조상품 유통·판매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에 이날 회의에서는 우리 수출기업의 권리를 보호하고 K-푸드의 브랜드 가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양 부처는 올해 하반기 위조상품 대응을 위해 △현지 기관과의 합동 점검 △소비자 참여 캠페인 △식품기업과 함께 위조·한류 편승 제품 기획 실태조사 △지적재산권 관련 자문·교육·설명회 등의 기업 지원 등을 중점 과제로 설정·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더불어 수출업계의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청취해 지원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신상곤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K-브랜드의 위조상품이 급증함에 따라 우리 기업의 수출 애로와 브랜드 신뢰도 하락이 우려된다”면서 “앞으로도 관계부처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우리 기업의 K-브랜드 위조상품 피해 예방·구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주원철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도 “K-푸드 수출은 올해 대내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전년 대비 7% 이상의 견조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우리 농식품 기업의 해외 진출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외 위조상품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애로 상담과 교육·자문, 지재권 출원·등록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