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 현장 방문해 실증 사례 논의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농어촌 공유자원에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한 에너지의 판매 소득을 지역주민들에게 연금형태로 지급하는 ‘햇빛연금’을 공약하면서 농촌 태양광 발전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농어촌공사도 공약 집행과 실현을 위해 나서고 있다.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은 지난 1일 전남 보성군에 위치한 ‘보성 농업인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 를 방문해 농업과 에너지 생산을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농가 소득 모델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영농형 태양광의 실증 사례와 수익 구조를 확인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에는 문병완 보성농협 조합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함께 참석했으며 영농형 태양광의 현황과 향후 확대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작물 재배지 위에 높이 3~4m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태양광 패널을 부착함으로써 작물 재배와 전력 생산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태양광 발전이다. 식물은 광포화점 원리에 따라 일정 일조량을 넘어서면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작물이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일조량은 발전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 방식은 농업 소득 외에 전력 판매를 통한 부가 소득 창출이 가능하며, 농지 보전에도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날 김 사장이 방문한 보성 농업인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농지 2867㎡(약 869평) 중 2145㎡(약 670평)에 99.7kW 규모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지난해 기준 벼 재배 수익 141만 원과 발전수익 1292만 원을 합쳐 약 1433만 원의 연간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장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소득 증대뿐만 아니라 농지 보전 측면에서도 장점이 많아 잘 활용한다면 농어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다”며 “햇빛연금과 같이 농업과 조화를 이루는 다양한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을 다각도에서 고민해 농어촌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농어촌공사는 영농형 태양광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전력, 한국에너지공단, 전기안전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기술개발, 제도 개선, 표준 시공 기준 마련, 경제성 분석 등 다방면으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