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이어진 극한호우로 인명 피해를 동반한 재난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한국농어촌공사는 수리시설 신속 복구와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나섰다.
한국농어촌공사는 극한호우로 인한 수리시설 피해에 대해 신속한 복구작업에 착수하며 향후 반복될 수 있는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폭우에 대비해 사전 대응체계와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했으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은 호우 사전 준비회의를 통해 “무엇보다 인명 피해를 막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철저한 대응을 지시하기도 했다.
이번 호우에서 농어촌공사는 소양강댐 저수량의 41%에 달하는 12억 톤을 사전에 방류해 저수지 수위를 낮춰 저류 효과를 극대화해 하류부 침수피해를 줄이는 한편 집중호우가 내리던 16~20일에는 누적 7179명의 인력을 투입, 824개 배수장을 가동해 농경지 등에 대한 침수피해를 줄이는데 집중했다고 전했다.
다만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이례적인 폭우로 일부 배수장이 물에 잠기는 등 수리 시설물 피해가 발생하면서 김 사장은 지난 20일 ‘호우 피해 현황 및 복구계획 점검 회의’를 주재해 “향후 태풍 등 추가 재해에 대비해 피해복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수리시설 기능을 신속히 회복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농어촌공사는 수시시설 피해에 대한 응급 복구와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이번 폭우에 농어촌공사 전 임직원이 나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며 “반복되는 극한 호우, 태풍에 대비해 수리시설을 빠르게 복구하고 농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