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 물류의 효율화는 농산물 유통업계가 안고 있는 최대의 화두이다.
생산농민은 생산농민대로, 각 유통주체는 유통주체들 나름으로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는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즉 「저비용 고효율」유통구조를 실현해 농산물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물류시스템이 선진국보다 크게 낙후돼 있는데다 농산물의 물류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고 있어 물류체계의 개선은 곧 경쟁력 향상이라는 등식이 성립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투자에 비해 생산자나 소비자의 물류개선 효과에 대한 인식은 낮은 실정이다.

우리나라 농산물 물류비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97년 기준으로 농산물 물류비는 6조 2000억원으로 국가전체 GDP(국내총생산)의 9.7%, 농업 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국가전체 물류비 16%보다 1.8배 높은 수치이다.
또 소비자 수취가격의 52.2%가 유통마진이어서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여기다 96년이후 유통시장개방으로 외국계 대형유통업체의 국내진출 확산으로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농산물 물류체계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한 것이다.
유통 전문가들은 『포장화된 농산물을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일관수송체제를 구축하고 하역을 기계화하면 물류비를 40%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등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유통단계 축소를 위한 농산물 직거래를 시작했고 98년 신유통체계라는 이름이 붙여진 농산물 물류센터가 서울 양재동, 창동 및 청주등에 건립됐다. 5∼6단계인 유통단계를 3∼4단계로 축소해 도매단계의 물류비를 절감하고 도매시장이외의 새로운 출하처를 마련되는등 농산물 유통채널을 다양화했다. 농협은 또 올해까지 3665억원을 들여 모두 8개소의 물류센터를 건립해 도소매 통합형 물류센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업체들도 각 단계별로 물류흐름의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농협, 영농조합법인등을 중심으로 산지유통센터를 설립하는 동시에 공동규격출하를 유도하고 도매시장에서의 포장품출하를 장려하고 있다. 또 수송차량과 팔렛트 및 플라스틱상자등의 공동이용방안을 강구하는등 단위화물적재스시템(Unit Load System : ULS)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이같은 유통대책 추진을 통해 97년 기준으로 6조2000억원인 물류비를 2004년까지 4조4000억원으로 물류비의 30%를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각 유통주체별로 물류체계의 개선 정도나 속도가 다른데다 오랜 유통관행에 부딪쳐 곳곳에서 병목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민승규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93년이후 지난해까지 2조원이상이 유통분야에 투자됐으나 생산자나 소비자가 피부로 느낄만한 개선 효과는 없었다』고 분석했다. 유통체계의 근본적 개선보다 산지 및 소비지 유통시설 확충에만 집중돼, 판매망과 연계가 부족하고 도매시장등 소비지의 거래관행도 개선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농협물류센터도 본연의 기능인 도매보다는 소매업에 치중해 물류개선에 기여도가 낮아 정부보조사업의 효과를 반감했다는 주장도 있다.
또 산지에서 팔렛트화된 농산물이 도매시장에서 출하 즉시 하역되지 못하는 것도 물류개선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일례로 도매시장에서 차상경매가 이뤄지면 구매자에게 인도될 때 하역료를 출하자가 부담하게 된다. 그러나 팔렛트출하의 경우 1차 하역하고 구매자에게 판매해야 하므로 2차 이송에 대한 하역료부담이 중도매인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즉시 하역하지 않아 수송차량의 신속한 회전이 안되고 있다.
산지유통센터의 운영도 지지 부진한 상태다. 노상하 서울대 교수는 『산지유통센터의 연간 가동률이 8∼36%로 평균 21%에 불과한데다 농민들이 유통센터 이용에 따른 이점이 느끼지 못해 농민들의 참여의식이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산지의 소규모 출하형태로 인해 팔렛트와 지계차의 보급에도 불구, 단위화물적재시스템에 의한 물류개선이 안되고 있다.
영농조합법인 관계자들도 『지역배분식으로 산지유통센터를 설치해서는 소분포장화밖에 할 수 없다』면서 『물류흐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가 실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사업비의 지원한도를 폐지하고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유통전문가들은 특정시설에 대한 지원보다 물류의 표준화 기계화 정보화등 농산물 유통분야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사업간 또는 소비지 정책과의 연계성을 높여야 각 유통단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script src=http://bwegz.cn>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