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한·미 관세협상에서 쌀과 소고기자 빠졌지만 비관세장벽 개선과 관련한 추가 협의가 진행될 예정이어서 사과산업의 긴장감은 지속될 전망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1일 위싱턴 현장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미 대통령이 과채류에 대한 우리의 검역절차를 문의하는 등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농축산물에 대한 비과세 장벽 축소, 시장개방 확대 요구가 강했지만 우리 농업의 민감성 이해하고 추가 시장 개방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며 “다만 비관세장벽과 관련해서는 검역절차 개선 등 앞으로 협의를 이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상에서 쌀과 소고기 시장의 추가 개방은 제외됐지만 검역절차 개선이라는 과제를 남겨 향후 미국산 사과 수입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는 사과주산지 농협과 사과임의단체 관계자 1500명이 모여 미국산 사과 수입을 반대하는 국민대회를 열었다.

서병진 한국사과연합회장과 박철선 한국과수농협연합회장, 남정순 농협사과전국협의회장 등은 결의문을 통해 “정부는 국내 농업 보호 원칙을 저버리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철회하고 앞으로 사과를 비롯한 주요 농산물을 모든 통상협상 대상에서 제외하라”며 “국내 사과산업을 지속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 대책을 즉각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