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풍·냉수 공급장치

단계적 가동…산란율 증가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산란계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개발한 가축더위지수 연동 자동제어 기술(이하 자동제어 기술)을 산란계 농장에 적용한 결과 산란율은 증가한 반면 폐사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제어 기술은 가축더위지수를 기반으로 축사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축사 내부에 설치된 감지기로 온·습도를 감지하고 가축더위지수를 산출해 수치에 따라 송풍팬과 냉수 공급장치를 단계적으로 가동하는 원리다.

축과원 연구진은 지난해 여름 충북 옥천 소재 동물복지 인증 산란계 농장에서 평균 실내 온도 32.8도, 가축더위지수 85.2를 유지하며 9주간 실증시험을 진행했다.

또한 가축더위지수와 연동해 자동제어 기술을 통해 약 20도의 음수 공급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산란율은 기존 83.5%에서 84.75%로 1.25%포인트 증가했으며 난각강도도 10.2% 향상됐다. 반면 폐사율은 0.84%포인트 감소하며 자동제어 기술이 산란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축과원은 자동제어 기술이 체온 조절 능력이 낮아 더위에 특히 취약한 산란계와 여름철 산란율 저하, 달걀 품질 저하, 폐사율 증가 등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