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 소비가 환경 파괴 주범이라는
편향된 인식 심어줄 수 있어
학생대상 교육에는 부적합

저탄소인증 농·축산물
소비 방향으로 가야

[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이미지 제공=아이클릭아트
이미지 제공=아이클릭아트

최근 일부 지역의 학교에서 급식과 관련해 탄소 저감 등 환경 보호를 이유로 채식만 급식하거나 편향된 식단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축산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탄소 저감을 비롯한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부 시·도에서 ‘그린 급식’, ‘저탄소 환경급식’, ‘기후 급식’ 등의 이름으로 채식 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21년부터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한 달에 2번 채식만을 급식하는 ‘SOS! 그린 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와 관련해 “육류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며 지금이라도 육식을 줄이고 채식 위주의 식단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교육 자료집을 배포했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또한 지난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는 육류 대신 채식으로 학교 급식을 제공한다면서 ‘저탄소 채식의 날’을 월 2회 이상 진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축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잘못된 교육이 학생들에게 육류 소비가 환경 파괴의 주범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면서 “자발적인 채식이 아니라 학교에서 강제적으로 채식만을 하도록 하는 것은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영양학적으로도 좋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환경을 위해 저탄소 급식을 추진하는 것은 좋은 취지이지만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로컬푸드를 이용하거나 저탄소인증 농·축산물을 소비하는 방향이 아니라 아예 육류를 배제하는 방식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