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공공기관에서도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행정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지난 21일 생성형 AI 기반의 검색증강생성(RAG)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농기평은 향후 국민에게도 서비스를 확대 개방할 계획이다.

RAG는 생성형 AI의 출력을 최적화해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을 참조하도록 하는 기술로 생성형 AI의 문제점인 모르는데 아는 척하는 ‘환각’ 현상을 방지한다.

이번에 도입된 AI RAG 서비스는 농기평이 다년간 축적한 농식품 연구개발(R&D) 자료, 연구 동향자료, R&D 혁신 관련 법령 등 방대한 연구성과와 정책 자료를 학습데이터로 활용해 정보 탐색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연구 기획, 평가, 관리 등 전 과정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농기평 관계자는 “이번에 도입된 AI RAG 서비스는 농식품 R&D 보고서, 연구 동향자료 등을 사전학습해 직원들의 신속한 정보 검색·분석을 지원한다”며 “또 질문의 맥락을 파악해 요약, 분석, 문서 비교 기능을 제공하고 새로운 연구방향이나 정책 기획에 필요한 통찰 도출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노수현 농기평 원장은 “이번 AI 기반 서비스는 단순한 검색 시스템을 넘어 과제관리·기획 담당자가 방대한 자료 속에서 핵심 정보를 신속하게 찾고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을 돕는 혁신적 도구”라며 “향후 국민에게도 서비스를 확대 개방해 농림식품 연구성과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