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쌀 수확기를 앞두고 정부가 쌀 3만 톤 방출을 결정하는 등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생산자 단체들은 “농업인 생존권을 지켜달라”고 북을 울리며 절박한 심정을 표출했다.
전국쌀생산자협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이하 전농) 등은 지난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수확기 정부미·수입쌀 방출 중단과 밥 한 공기 300원 보장 등을 요구하는 릴레이 발언대를 열었다.
최근 정부는 대여 방식으로 정부양곡 3만 톤을 방출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앞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쌀값이 (20kg당)6만 원을 넘어가면 비싸다는 말이 나온다”고 발언한 바 있다. 농업인들 사이에선 물가를 이유로 쌀값을 떨어뜨려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발언대에 나선 대표 발언자들은 억울한 일을 호소하기 위해 신문고를 울렸던 선조들처럼 농업인들의 억울함을 풀어내기 위해 북을 3번씩 울리고 발언을 시작했다.
가장 먼저 이진구 전농 충남도연맹 회장은 “쌀을 지키는 것은 농지를 지키고 국가의 안보를 지키는 일”이라며 “수확기에 쌀을 방출하는 것은 쌀값을 낮추겠다는 의도가 명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무진 전농 해남군농민회 회장은 대여 방출이 농업인들과의 신뢰를 흔들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꼬집었다.
이 회장은 “수확기에 쌀 3만 톤을 대여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도입해서까지 방출하려는 정확한 의도가 무엇인지 생산자인 농업인도, 쌀을 빌려쓰게 된 농협도, 그 누구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며 “정책은 정책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도 신뢰할 수 있어야 효능이 생기는 것인데 가격을 억누르기 위해 대여 방식으로 쌀을 풀어 농업인의 땀의 댓가를 깎아내리려 하는 정부에 무슨 신뢰가 생기겠느냐” 반문했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쌀은 농업인의 생존권이나 농업의 상징인데 쌀값이 공정하지 않다면 어떤 농산물 가격이 공정하겠느냐”며 “정부는 정부미와 수입쌀 방출을 즉각 중단하고 농업인의 최소한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밥 한 공기 300원을 보장하라”고 목놓아 외쳤다.
이들은 △수확기 정부미·수입쌀 방출 즉각 중단 △밥 한 공기 300원 보장 △공정가격 보장되는 양곡관리법 개정 등을 요구사항으로 내걸었다.
